피뢰침
제품명: 고전압펄스식 이온방사형 유도광역 피뢰침 [SK-3]
- 한국전기시험연구원(KERI) 성능TEST
- 고전압펄스식 이온방사형 유도광역 피뢰침(ESE피뢰침)
- 제품정보
- 프랑스, 스페인,유고등유럽 선진국의 국가 산업 표준을 적용한 피뢰침 입니다.
- 내부소자 작동으로 고전압을 발생시켜 일반피뢰침보다 조기에 상승스트리머를 방사하여 넓은 보호반경을 갖습니다.
- 보호반경 TABLE
등급 | 1등급 | 2등급 | 3등급 | 4등급 | |
설 치 높 이 |
2 | 44 | 47 | 52 | 56 |
3 | 65 | 70 | 77 | 83 | |
4 | 87 | 94 | 103 | 111 | |
5 | 109 | 117 | 129 | 139 | |
10 | 109 | 118 | 130 | 141 | |
15 | 109 | 119 | 131 | 142 | |
20 | 109 | 119 | 132 | 144 | |
45 | 109 | 119 | 134 | 148 | |
60 | 109 | 119 | 134 | 149 |
- 제품특장점
- 강력한 보호효율을 자랑하는 돌침형 피뢰침
- 고급스럽고 내구성이 강한 소재(스테인레스 스틸)채택
- 물성적 소자+내부회로에 의한 선행스트리머의 방사
- 일반 피뢰침에 비해 넓은 보호범위와 그에따른 경제적 효과
- 수입부담과 유통 마진을 제거한 저렴한 가격
- 설치상세도
제품명: 고성능 피뢰침 [OPTIMA 1]
- 공기의 절연파괴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일반피뢰침보다 보호효율을 높인 고성능 피뢰침 [옵티마1]
- 제품정보
- 기존 돌침형 피뢰침에 비교하여 우수한 보호효율을 가지는 동시에 더 넓은 범위를 보호할 수 있어 훨씬 효과적이고 경제적임.
- 뇌운 존재시 발생되는 대지전계의 공기간격, 절연간격 등을 응용하여 이온을 방사하는 기계적 방식.
- 제품특장점
고성능 피뢰침 옵티마-1의 특징 | |
원리 | 스트리머 방사원리 |
피뢰보호이론 | 전기기하학적 모델에 의거한 보호반경 적용 |
회전구체법, 보호각법 적용 | |
보호공간 | 회전구체법에 의거 피보호 설명에 대해 설정된 보호반경 적용 |
보호각법이 적용된 완전 보호공간 확보 | |
보호평면별 보호반경 내의 전체범위에 걸쳐 보호공간이 설정됨 |
- 설치상세도
제품명: 정전분산형 피뢰침 [OPTIMA-3]
- 정전식 방전분산형 공간전하 피뢰침 [옵티마-3]
- 제품정보
- 공기의 절연파괴 메커니즘을 응용한 CTS방식의 피뢰침
- 대지전계강도와 임계표면적의 포집능력을 응용한 이온방사
- 다량의 이온방사로 주변전계 밀도 감소
- 뇌격시 상승 스트리머 발생 억제
- 한국전기 연구소(KERI)성능 TEST, 증강보호 개념의 설비
- 제품특장점
CTS(Charge Transfer System)방식
- 정전식 방전 분산형 공간전하 피뢰침은 전계상승과 공기의 절연파괴로 인하여 활발히 방전하여 건물의 주변을 뇌운과 반돼되는 극성의 전하로 감싸게 하여 주변전계를 감소시킨다.
- 주변전계의 감소는 스트리머 발생을 지연하여 뇌격을 흡인할 수 있는 기회를 최소화 시킨다.
- 이처럼 대지의 전하를 이동하여 대기중으로 빠르게 방사하는 CTS는 전하전송시스템(Charge Transfer System:CTS)으로서, 일명 정전분산형 피뢰침이라 불리우며 방전분산형, 공간전하분산형 등으로도 통용되기도 한다.
- 설치상세도
제품명: 쌍극자 피뢰침 [SK-9]
- 쌍극자피뢰침
- 한국전기연구원 시험필
- 국내 및 미국특허
- 제품정보
- 건축물 등에 뇌격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
- 뇌운 존재 시 전기 쌍극자 이론에 의해 일반 피뢰침보다 빠르게 많은 이온을 발생하여 대기중으로 방출.
- 피뢰침에서 방출된 이온은 주변의 반대 극성 이온과 결합하여 주변 전계를 감소,
- 뇌격 흡인의 기회 최소화 함.
- 제품특장점
쌍극자 피뢰침 SK-9과 일반형 피뢰침의 특징 비교
비교 | 쌍극자 피뢰침 [SK-9] | 일반형 피뢰침 |
원리 |
- 전기 이중층 원리 |
|
피뢰보호이론 |
- 전기 기하학적 모델에 의거한 보호반경 적용 - 회전구체법 적용 - A.W 이론적용 |
- 보호각 적용 - 설치높이가 높을수록 보호공간이 매우 협소해짐 |
보호범위 |
|
- 회전구체법, 각도법을 이용한 보호범위 |
동작특성 |
-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대기중으로 이온을 방사함 - 직격뢰의 확률을 최소화 함 |
- 뇌운 접근 시 자연적 이온화 현상에 의해 발생 - 뇌격을 흡인하여 접지로 방류 |
장단점 |
- 스테인레스재질로 부식 방지 효과가 높음 - 유지보수 차원에 용이 - LCC(Life Cycle Cost)측면에서 경제적 |
- 부식의 진행이 빠름 - 잦은 유지보수 필요함 - 단가면에서 비경제적 |
- 설치상세도
제품명: 피뢰침 [주공형, Y형, 애자형]
주공형 피뢰침
Y형 피뢰침
애자형 피뢰침
주공형 피뢰침 | Y형 피뢰침 | 애자형 피뢰침 | |
장 침 | (13Φ→25Φ) *350mm (1ea) |
14Φ*290mm (1ea) | 13Φ*285mm (1ea) |
소 침 | 11Φ*150mm (3ea) | 13Φ*135mm (3ea) | |
길 이 | 490mm | 400mm | 525mm |
※상기 제품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, 특성은 동급 이상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변경 될 수 있습니다
당사의 페이지 및 제품 이미지의 저작권은 삼은통신에 있으며,
무단 복제나 도용은 저작권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습니다.
또한 이를 위반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